산요.jpg 

산요전기코리아(주) 사토 타카유키 대표이사

 

 

Q. 귀사에 대한 간략한 소개.

A. 1920년 수동 발전기 제작을 시작으로 설립된 산요전기는 현재 팬, 전원장치, 서보 시스템 등의 사업 분야에서 연 매출 700억 엔가량을 올리는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났다. 특히 서보모터를 비롯해 앰프, 스테핑 모터, 드라이버, 컨트롤러 등의 제품군들은 고개들의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일본에서 AC 서보모터를 최초로 공급한 선도적인 기업이기도 하다.

 

Q. 귀사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A. 좋은 품질의 제품을 각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니즈에 맞춰 적절하게 커스터마이징 해준다는 점을 가장 큰 장점으로 꼽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고객들과 동반성장할 수 있는 관계 정립을 목표로 영업을 함으로써 고객과의 소통에도 힘을 쏟고 있으며, 특히 한국은 물론 일본 본사 엔지니어들까지 적극적으로 고객을 위한 기술 지원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Q. 귀사의 향후 목표는.

A. 산요전기라는 이름이 세계 탑 브랜드가 되기 위해 산요전기코리아 역시 최선을 다해 국내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것이며, 브랜드 마케팅을 통한 인지도 정립에 힘을 쏟을 것이다.

 

1.png 

 

산요전기코리아(주) www.sanyodenki.co.kr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팬, 전원장치, 서보 시스템의 삼박자 갖춘 ‘산요전기’
신제품레이저 용접기
제품코드G020884
판매가격가격협의
제품분류주단조/용접/금형기계 > 용접기계
제품사양
모델명다이오드타입 용접기
제조사알수없음
판매지역전국
거래방식직거래
제조년도2013 년
A/S여부가능
설치 및 시운전가능
세금계산서가능
제조국가-
제품 QR코드
제품 QR코드
등록자정보
회사명지산무역담당자지산무역
전화번호031-310-8717휴대전화***
이메일jisantrade@jisantrade.com홈페이지http://www.jisantrade.com
주소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능안로 81(안산디지털파크 6014~5호)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jisantrade
제품상세정보
레이저 용접기

'제품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스세척기  (0) 2013.09.11
TCDMB 40Φ  (0) 2013.09.10
만능공구 연마기  (0) 2013.08.30
축전지  (0) 2013.08.28
프로모션 프렛,ㅡ  (0) 2013.07.24
신제품만능공구 연마기
제품코드G020716
판매가격가격협의
제품분류공작기계/금속가공 > 연마,연삭기
제품사양만능공구 연마기
모델명만능공구 연마기
제조사하주테크
판매지역전국
거래방식직거래
제조년도2013 년
A/S여부가능
설치 및 시운전가능
세금계산서가능
제조국가-
제품 QR코드
제품 QR코드
등록자정보
회사명하주테크담당자하주테크
전화번호032-623-0226휴대전화***
이메일hajoo@hajoo.co.kr홈페이지http://www.hajoo.co.kr
주소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부천로198번길 18 (춘의동, 춘의테크노파크II 202동 405호)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hajoo
제품상세정보
만능공구 연마기

'제품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DMB 40Φ  (0) 2013.09.10
레이저 용접기  (0) 2013.09.03
축전지  (0) 2013.08.28
프로모션 프렛,ㅡ  (0) 2013.07.24
멀티모션 프레스  (0) 2013.07.24
신제품축전지
제품코드G020557
판매가격가격협의
제품분류환경설비/에너지 > 축전지
제품사양축전지 2볼트
모델명UB시리즈
제조사알수없음
판매지역전국
거래방식안전거래
제조년도2013 년
A/S여부가능
설치 및 시운전가능
세금계산서가능
제조국가-
제품 QR코드
제품 QR코드
등록자정보
회사명유니썬전지담당자유니썬전지
전화번호054-971-8079휴대전화***
이메일unisun1234@hanmail.net홈페이지http://www.unisunbattery.co.kr
주소경상북도 구미시 1공단로7길 24-9 (공단동, 삼성견직(주))제품홍보관http://blog.yeogie.com/unisun1234
제품상세정보
축전지

'제품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레이저 용접기  (0) 2013.09.03
만능공구 연마기  (0) 2013.08.30
프로모션 프렛,ㅡ  (0) 2013.07.24
멀티모션 프레스  (0) 2013.07.24
원터치 드릴 보관대  (0) 2013.07.09

한성테크 한성호.jpg 

한성테크 한성호 대표

 

 

Q. 귀사에 대한 소개.

A. 1986년 설립된 이래 지금까지 자동화 컨트롤 업계에 발전해온 당사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개발 완료한 CNC 펀칭기와 CNC 드릴 기계 등을 고객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Q. 귀사 제품에 대한 소개.

A. 동사가 공급하는 CNC 펀칭기 및 CNC 드릴 기계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한, 인간중심의 설계를 지향함으로써 사용법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다. 철골 전용 드릴 연삭기, Comer Press M/C, Two Head CNC 드릴, 홀 천공 기계 등 다양한 기계들을 고객들에게 공급하고 있다.

 

Q. 향후 귀사의 발전 방향은.

A. 향후로도 지금처럼 사용자의 입장에서 고려된 제품으로 고객들에게 편의성과 신뢰를 제공할 것이며, 최고의 기계를 제작하겠다는 일념으로 고객들에게 보답할 것이다.

 

1.jpg 

 

한성테크 www.hansungtec.com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사용자 중심의 설계로 고객만족 극대화한 ‘한성테크’

 IMG_5934.JPG

 

 

 

 

 

 

 

 

 

 

 

 

 

 

 

 

 

 

 

 

 

 

 

 

 

 

 

 

 

박현섭 로봇PD

-삼성전자 수석연구원

-삼성-코닝 마이크로옵틱스 수석연구원

-Agere System 연구원

-삼성전자 가전연구소 수석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

-現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로봇PD


 

 

박현섭 신임 로봇PD는 PD로서의 업무를 시작하기에 앞서 본인이 생각하는 3가지 로봇산업의 키워드로 무인화, 고령화 대비, 제조업의 부활을 꼽은 바 있다. 특히 ‘제조업의 부활’은 그간 국가사업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차지했던 제조업용 로봇 분야 로봇기업들의 눈길을 잡아끌었다. 본지에서는 정부와 업계의 새로운 가교가 될 박현섭 로봇PD를 만나 그가 생각하는 이모저모를 들어보았다.

취재 정대상 기자(press2@engnews.co.kr)

 

 

Q. 매체를 통해 ‘제조업의 부활’을 생각한 바 있다고 밝혔는데요, 이를 언급한 이유가 있나요.

A. 현재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최근 중국 내 인건비 상승, 젊은 인재들의 현장업무 기피 등의 현상으로 인해 로봇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제가 몇몇 중국 진출 기업들을 살펴봤는데, 이들이 20년 전 제가 근무했던 당시의 국내 실정과 딱 비슷해요. 20년 전 우리나라 현장에서 인력으로 작업했던 공정들이 현재 중국에서 똑같이 이뤄지고 있더라고요.

세계 속의 공장을 자처하는 중국이 현재 이러한 과도기적 상태에 들어섰어요. 이제 로봇 도입을 적극적으로 생각할 시기가 온 거에요.

또 한 가지, 미국의 경우 IT와 금융 등의 분야가 발전하며 경제적 성장을 이룩했지만 소수만 돈을 벌었어요. 양극화가 심해진 거죠. 사실 제조업이 있어야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거든요.

즉, 제조업의 중요성을 세계 각국에서 재인식하게 됐고, 이에 따른 제조업 본국화에 제조용 로봇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Q. 그렇다면 신기술 과제 기획에 있어서도 제조용 로봇에 대한 비중이 높아질 수 있겠네요.

A. 물론 정확한 그림은 업무를 수행하며 로봇 R&D 방향을 정리한 후 답변드릴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중요하게 생각해요. 특히 한국 입장에서는 뿌리산업 분야가 작업 환경이 열악해요. 대기업처럼 대량생산라인을 구축하지 않은 중소기업이 주로 포진한 뿌리산업 분야는 수작업으로 이뤄지는데, 젊은 세대의 현장기피로 외국인 근로자들이 많이 근무하고 있어요. 그런데 그들은 6년 후 귀국해야 된다는 제약이 있어요. 한 3년 기술을 가르쳐두면 조만간 귀국하는 거예요. 실제로 중소기업 사장들이 가장 큰 스트레스로 생각하는 부분이 바로 인력이에요.

하지만 로봇이 이런 걸 해결해 줄 수 있어요. 즉 로봇은 중소기업의 애로를 해소하면서도 중소기업을 탄탄하게 해주는 경쟁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요.

 

Q. 과제 선정 및 지원과 관련해서 기업들에게 팁을 줄 수 있는 부분이 있나요.

A. 구체적으로 기업에 도움을 줄 만한 메시지는 한 반년에서 1년은 지나야 될 거 같아요. 다만 힌트를 드리자면, 진짜 돈이 되고 사업화될 수 있는 아이디어면 어떠한 분야든 관계없이 지원할 거예요.

필요하고, 사업화되고, 기술적으로 이노베이션하면 무조건 지원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애로사항 해결도 중요해요. 그래서 이런 부분을 듣기 위해 항상 이메일이나 전화를 오픈하고 있어요. 소통을 위해 언제라도 로봇인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요. 그래서 정부 R&D가 R&D를 위한 R&D가 아닌, 기업을 위한 R&D가 되도록 해야죠.

 

Q. 얼마 전 유럽 출장을 다녀오셨어요. 해외 사정은 어떤가요.

A. 사실 처음에는 선생님을 만나 배우러 가듯 출장을 갔었는데요, 관계자와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한국과 실정이 너무 똑같더라고요. 일자리 창출, 사업화, 기술이전 등 우리가 고민하는 걸 그들도 고민하고 있어요. 그러면서 어느 정도 자신감도 얻었어요.

그리고 무엇보다 한 국가가 하기 힘든 분야에 대한 국제 공동과제를 만들어 서로 관심 있는 분야를 함께 추진하는 등 그들과 공감하고, 교류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구축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있어요.

 

Q. 로봇PD라는 역할에 대해 부담이 있으시겠어요.

A. 제가 돌팔이가 되면 안 된다는 거예요. 의사는 생명을 다루고, 실수가 있어서는 안 돼요. 그래서 절차가 정확해요. 진찰하고, 검사를 한 후, 진단하고, 처방하고, 치료하죠. 이 과정이 하나라도 잘못되면 돌팔이인거죠.

우리 R&D 과제도 이를 배울 필요가 있어요. 약국에 가면 수백 종의 약이 있죠? 자칫하면, 거기에 쓰일지, 안 쓰일지도 모르는 약을 계속 추가하게 되는 수가 있죠. 그래서 많은 기업들을 만나 진단하고, 처방도 하면서 돌팔이가 되지 않으려고요.

 

Q. 로봇PD로서 로봇인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부분이 있나요.

A. 로봇PD는 감독의 역할이에요. 감독은 게임에서 이기는데 관심이 있고, 선수는 스타가 되어야 하죠. 감독이 게임을 이기는 좋은 방법은 좋은 선수를 키우는 거예요. 지금 제 관심은 누가 박지성 같은 스타가 될 것이냐, 라는 부분이에요. 결국 박지성 같은 기업을 찾아 지원해주고, 스타를 육성해 로봇산업을 키우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어요. 그래서 지금 저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며 좋은 선수인지, 아닌지를 파악하며 대표선수 선발에 고민하고 있어요. 그러려면 저와 로봇인들이 서로 가려운 부분을 공유하고, 서로를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해요.

PD라는 직책은 정책과 예산을 담당하는 관료와 현장의 다리 역할을 해야 해요. 그래서 정책 관련 인사들을 이해하면서 현장에 있는 이들도 이해해야 해요. 사실 두 부류는 서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이 커뮤니케이션을 잘 해줄 수 있는 소통창구가 되어야 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저에게 많은 이야기를 해주셨으면 좋겠어요.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정부와 로봇업계 이어줄 새로운 다리 ‘박현섭 로봇PD’

재인2.jpg 

재인산업 안재영 대표

 

Q, 귀사에 대한 소개.

A. 2005년 설립된 압출성형기기 제조 전문기업으로, 건축자재 압출 전용 장비를 전문적으로 제조하고 있다.

 

Q. 현재 압출기 시장은 어떠한가.

A. 압출기 전문기업은 크게 두 가지 성격으로 나눠진다. 동사와 같이 특화된 분야의 압출기를 제조하는 전문기업과, 다양한 라인업을 통해 여러 시장을 공략하는 압출기 제조기업으로 분류할 수 있다. 현재는 이 두 부류의 시장이 겹쳐지며 다소 혼란스러운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동사의 경우는 섀시 등 건축 자재 압출 분야에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이 분야에 대해서 전문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Q. 귀사의 향후 비전은.

A. 항상 보다 좋은 제품을 공급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에서도 경쟁할 수 있는 높은 품질의 제품을 만들기 위해 꾸준히 기술개발에 정진하고 있다. 고객들에게 더욱 전문성 있는 기업, 신뢰가 가는 기업이 될 것이다.

 

1.jpg 

 

재인산업 http://blog.yeogie.com/jii10004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재인산업, 전문 압출성형기로 시장 공략

윤성 김성회.png 

(주)윤성 김성회 대표

 

 

Q, 귀사에 대한 소개.

A. (주)윤성은 플라스틱공정에 관한 모든 주변기기들을 생산, 공급하는 플라스틱 관련 기기 생산기업으로, 오로지 제조에만 전념함으로써 전문화된 기술력을 확보한 제조전문기업이다.

 

Q. 귀사의 경쟁력은 무엇인가.

A. 현재 동사는 오로지 에이전트를 통해서만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제조 전문기업으로서 판매, 영업 등에 투입되는 인력과 자금을 오로지 제조 부문에 투입함으로 인해 양산 체제를 구축했다.

직접 판매보다 마진이 낮더라도 제조에 집중함으로써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생산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양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 인해 24시간 출고가 가능하다.

 

Q. 귀사의 향후 비전은.

A. 제조를 하는 기업은 제조만을 해야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당사는 생산전문, 제조전문기업으로서 고객이 필요로하는 곳 어디에든 기술과 품질로 보답할 것이다.

 

JJXE02KTXGR.png 

(주)윤성 http://blog.yeogie.com/yunsung0323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제조의 전문화로 고객감동 실현한 ‘윤성’

코스모.png 

(유)코스모브이엔피 윤종명 대표

 

Q, 귀사에 대한 소개.

A. 유한회사 코스모브이엔피는 건식진공펌프 및 루츠블로워의 세계적 선두업체인 일본 ANLET(안레트)사의 한국 총판매 및 서비스 업체로서 다양한 모델 및 규격의 진공 및 압력 블로워 관련 제품을 판매, 관리 및 After Service를 수행하고 있다.

 

Q. 귀사 제품에 대한 소개.

A. 당사는 일본 안레트사의 Dry Vacuum Pump, Roots Blower, Gas용 밀폐형 Roots Blower, Compact Blower, Fume Collector, 자흡식 Roots Pump, 등 다양한 모델 및 규격의 진공 및 압력 블로워 관련 제품을 판매, 관리 및 After Service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당사는 고객만족의 일등품질 확보를 위해 한번 판매된 제품은 사용 중은 물론 폐기 시까지 책임진다는 방침으로 자사의 제품들이 언제어디에서나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되어질 수 있도록 전문엔지니어들이 문제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SYSTEM 을 갖춰 운영하고 있다.

 

Q. 귀사의 향후 비전은.

A. 고객의 만족이 기업의 가장 큰 목표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고객의 작은 요구도 놓치지 않으며 최고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로 앞으로도 계속해 서비스와 품질을 유지/개선, 고객을 위한 최상품질의 제품과 A/S를 제공할 것이다.

 

1.png 

 

(유)코스모브이엔피 www.anlet.net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유)코스모브이엔피, 신속?정확한 기술지원 호평

디티알.jpg

디티알(주)(www.dragon.co.kr)의 부설연구소가 산업통산자원부로부터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사업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사업대상으로 디티알을 비롯해 48개 중소·중견기업부설연구소를 선정했다고 6월20일밝혔다.

ATC 사업은 기술잠재력을 지닌 중소·중견기업부설연구소를 ATC로 지정해 자유형과제를 지원,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소로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사업은 지난 2003년부터 시행됐으며 성장가능성이 큰 기업연구소에 최장 5년간 매년 5억원내외의 예산을 지원한다.

정만기 산업부 산업기반실장은 “중소·중견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을 통한 신제품 개발과 생산성 제고가 핵심요소”라며 “산업부는 글로벌 경제 위기극복을 위해 우수 중소·중견기업을 선별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료 :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디티알(주), 우수기술연구센터(ATC) 사업 대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