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의 사출성형 생산라인인 우진테크노밸리가 업계의 지대한 관심 속에서 성황리에 오픈하우스 및 준공식 행사를 마쳤다. 이번 우진테크노밸리 준공은 사출성형 업계를 비롯해 지역과 국가 경쟁력의 제고에도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어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이에 본지에서 우진테크노밸리 오픈하우스 행사 현장을 취재했다.
취재 정대상 기자(press2@engnews.co.kr)


우진플라임.png


우진플라임, 제조공정에서 생산 시스템까지 모두 공개


(주)우진플라임이 10월 1일 충북 보은일반산업단지에서 우진테크노밸리의 준공을 기념하는 행사를 가졌다. 이날 행사는 지난해 착공 소식을 알리면서‘보은시대’를 선언한 (주)우진플라임이 새출발을 다짐하는 자리로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 외 관련 기업 및 보은 주민들이 대거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주)우진플라임은 이번 준공식 행사와 더불어 10월 10일까지 열흘간 준공된 우진테크노밸리를 가감 없이 공개해 더욱 관심을 모았다. 50~3,500톤에 이르는 (주)우진플라임의 사출기 시연을 비롯해 공장 투어 등의 행사로 치러진 이번 오픈하우스는 제조공정을 고객사에게 공개하면서 신뢰를 다져나가는 행사로 꾸려져 뜻깊은 시간이 됐다.
회사 관계자는 “단순한 이전의 의미가 아닌 보은에서의 새출발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자 열흘에 이르는 행사를 마련했다”며 “제조공정과 생산 시스템 공개로 더욱 믿을 수 있는 ‘우진플라임’의 이미지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전했다.


세계 속의 ‘(주)우진플라임’ 위상 제고


퓨전국악공연으로 행사의 시작을 알린 이번 준공식에는 박우원 건설본부장의 공사현황보고를 비롯해 (주)우진플라임 김익환 대표이사의 감사패 전달 및 공로상 전달, 개식사 및 참석 인사들의 환영사와 축사, 오프닝 세레머니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국내 및 글로벌 파트너사의 귀빈들이 다수 참여해 세계 속의 (주)우진플라임의 위상을 제고했다.
특히 정상혁 보은군수는 이번 우진테크노밸리의 성공적인 유치에 대한 환영사를 통해 보은군과 우진플라임의 장밋빛 청사진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농업도시인 충북 보은이 우진테크노밸리 착공으로 인해 농업과 공업이 어우러진 도시로 거듭나 큰 발전의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며 소감을 밝힌 그는 “그간 보은에 규모 있는 기업이 없어 보은의 젊은 인재들이 타지로 나갔었지만, 우진플라임이 보은에 둥지를 틈으로 인해 최소 500여 명 이상의 인재가 고향을 지키고, 더불어 군이 활기를 띌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또한 이시종 충북도지사 역시 (주)우진플라임이 보은에 둥지를 틀 수 있었던 인연의 각별함을 강조하며 보은군과 나아가 충북도의 발전에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밝혔다. 더불어 이번 (주)우진플라임 보은시대를 축하하기 위해 참석한 산업통상자원부 윤상직 장관은 축사에서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우진플라임의 보은 공장 준공을 축하한다”며 “충청북도와 보은군이 우진플라임의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준다면, 중앙정부 역시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우진플라임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을 약속한다”고 전했다.
한편 (주)우진플라임 김익환 대표는 “첨단시설을 갖춘 우진테크노밸리 준공을 계기로 수년 내 플라스틱 사출성형 분야에서 세계 5위권에 진입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우진기계.png


우진테크노밸리를 발판으로 새로운 도약 기대


이번 (주)우진플라임 보은공장 오픈하우스 행사에서는 준공식 행사를 비롯해 우진플라임 사출성형공장 견학 및 사출기 전시, 세미나 등 동사의 경쟁력을 살펴볼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준비됐다.
이날 회사측은 LD, TE, TH, TN, VH, TB 시리즈 등 다양한 사출성형기를 전시해 풍부한 라인업을 선보였으며, 우진플라임 기술교육원, 엘컴텍, 삼진엘앤디, 덕산코트랜, MAXLINE, 부흥엔지니어링, 유신, HNP, KMI, 한국쉘석유, 한양로보틱스, 현대전기기계공업 등 다수의 파트너사가 상담부스를 마련해 보다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했다.
국내외 사출성형업계 및 정부, 유관단체가 모두 주목한 금번 (주)우진플라임의 우진테크노밸리 준공이 글로벌 리더 (주)우진플라임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우진플라임 www.woojinplaimm.com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국내 최대의 사출성형 ZONE, 베일을 벗다

공작기계회관 전경.JPG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회장 손종현)는 오늘 10월 8일 공작기계산업 및 회원사 발전의 전진기지가 될 공작기계회관의 준공식을 개최했다.


공작기계협회는 이번 신축회관 개관으로 수도권을 비롯한 동남권, 충청·호남권 회원사 모두에게 균형적인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협회와 회원사간의 긴밀하고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신축회관은 KTX 광명역사에서 500m내에 마련돼 접근성이 편리하며, 회원사를 위한 ‘공용회의실’과 소통의 공간인 ‘사랑방’ 등 편익시설 확보는 물론, 회원사의 사무실 임차도 가능하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이하 협회)는 공작기계산업의 위상강화와 협회 회원사들의 편익증진을 위해 ‘공작기계회관 시대’를 개막했다. 24년의 대치동 생활을 마감한 협회는 지난 10월 8일 광명시 일직동에 위치한 신축회관 7층 세미나실 및 1층 로비에서, 협회원사 및 관계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을  개최하고 제2의 도약을 다짐했다.


141008 준공식 04.JPG


141008 준공식 05.JPG


이날 손종현 회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우리 협회는 모든 공작기계인의 숙원사업인 공작기계회관을 건설해 역사적인 준공식을 맞게 되었다”며 “정부 산하의 많은 공공기관들 중 자기자본으로 회관을 건축하는 단체는 흔치 않다. 공작기계 산업의 발전과 함께 협회가 재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  역대 협회 회장님, 회원사들을 비롯해 회관건립 자문위원회 위원 여러분 모두에게도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공작기계회관은 지상 7층, 지하 2층으로 대지면적 735.80㎡(222.7평) 규모로 건립됐으며, 지난 2013년 6월 착공에 들어가 1년3개월의 공사 끝에 완공됐다. 


특히 KTX 광명역에 근접하여 편리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는 신축회관은 회원사들이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50여대 규모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지하 주차공간을 확보해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공작기계회관 1~2층은 근린생활시설이 입주할 예정이며, 3~5층에는 입주회원사 사무실, 6층은 협회 사무실이 입주해 있다. 또 신축회관 7층에는 모든 회원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용회의실이 꾸며져 있다.


이와 함께 협회는 사무실 내에 ‘사랑방’을 마련해, 회원사들이 언제나 찾아와 정보와 의견을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한국 공작기계산업은 2013년 생산(53억불) 5위와 수출(22억불) 7위로 무역수지 흑자국가로 성장해 왔으며, 세계 4위의 공작기계 소비국으로 세계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공작기계협회는 1979년 4월 10일 47개 회원사로 출발하여 35년이 지난 현재 183개 회원사로 늘어났으며, 국내 공작기계 및  관련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공작기계협회가 주관하여 1984년부터 개최해온 SIMTOS는 2012년 부터 KINTEX 1, 2전시장 전관을 사용하며 10만㎡ 규모로 개최되고 있다.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 전문전시회로 발전하며 세계 4대 공작기계전시회로  인정받고 있는 SIMTOS는 오는 2016년 4월 13일부터 17일까지 5일간 KINTEX 1, 2 전시장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141008 준공식 06.JPG



141008 준공식 07.JPG


141008 준공식 09.JPG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공작기계협회, 광명에 둥지 옮기고 제2의 도약 선포

공작기계회관 전경.JPG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회장 손종현)는 오늘 10월 8일 공작기계산업 및 회원사 발전의 전진기지가 될 공작기계회관의 준공식을 개최했다.


공작기계협회는 이번 신축회관 개관으로 수도권을 비롯한 동남권, 충청·호남권 회원사 모두에게 균형적인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협회와 회원사간의 긴밀하고 유기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신축회관은 KTX 광명역사에서 500m내에 마련돼 접근성이 편리하며, 회원사를 위한 ‘공용회의실’과 소통의 공간인 ‘사랑방’ 등 편익시설 확보는 물론, 회원사의 사무실 임차도 가능하다.


한국공작기계산업협회(이하 협회)는 공작기계산업의 위상강화와 협회 회원사들의 편익증진을 위해 ‘공작기계회관 시대’를 개막했다. 24년의 대치동 생활을 마감한 협회는 지난 10월 8일 광명시 일직동에 위치한 신축회관 7층 세미나실 및 1층 로비에서, 협회원사 및 관계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준공식을  개최하고 제2의 도약을 다짐했다.


141008 준공식 04.JPG


141008 준공식 05.JPG


이날 손종현 회장은 이날 기념사를 통해 “우리 협회는 모든 공작기계인의 숙원사업인 공작기계회관을 건설해 역사적인 준공식을 맞게 되었다”며 “정부 산하의 많은 공공기관들 중 자기자본으로 회관을 건축하는 단체는 흔치 않다. 공작기계 산업의 발전과 함께 협회가 재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도록 이끌어준  역대 협회 회장님, 회원사들을 비롯해 회관건립 자문위원회 위원 여러분 모두에게도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공작기계회관은 지상 7층, 지하 2층으로 대지면적 735.80㎡(222.7평) 규모로 건립됐으며, 지난 2013년 6월 착공에 들어가 1년3개월의 공사 끝에 완공됐다. 


특히 KTX 광명역에 근접하여 편리한 접근성을 가지고 있는 신축회관은 회원사들이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50여대 규모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지하 주차공간을 확보해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공작기계회관 1~2층은 근린생활시설이 입주할 예정이며, 3~5층에는 입주회원사 사무실, 6층은 협회 사무실이 입주해 있다. 또 신축회관 7층에는 모든 회원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공용회의실이 꾸며져 있다.


이와 함께 협회는 사무실 내에 ‘사랑방’을 마련해, 회원사들이 언제나 찾아와 정보와 의견을 교류하고  소통할 수 있도록 문턱을 낮췄다.


한국 공작기계산업은 2013년 생산(53억불) 5위와 수출(22억불) 7위로 무역수지 흑자국가로 성장해 왔으며, 세계 4위의 공작기계 소비국으로 세계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공작기계협회는 1979년 4월 10일 47개 회원사로 출발하여 35년이 지난 현재 183개 회원사로 늘어났으며, 국내 공작기계 및  관련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한편 공작기계협회가 주관하여 1984년부터 개최해온 SIMTOS는 2012년 부터 KINTEX 1, 2전시장 전관을 사용하며 10만㎡ 규모로 개최되고 있다.


국내 최대 생산제조기술 전문전시회로 발전하며 세계 4대 공작기계전시회로  인정받고 있는 SIMTOS는 오는 2016년 4월 13일부터 17일까지 5일간 KINTEX 1, 2 전시장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141008 준공식 06.JPG



141008 준공식 07.JPG


141008 준공식 09.JPG


※ 출처 : EngNews (산업포탈 여기에) - 공작기계협회, 광명에 둥지 옮기고 제2의 도약 선포

+ Recent posts